미분류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제2회(2013) <퇴계학과 근기실학> 학술대회 개최
admin - 2013.06.06
조회 2249
제2회(2013) <퇴계학과 근기실학> 학술대회 개최
“17세기 퇴계학의 확산과 실학의 형성”


○ 일 시 : 2013. 6월 10일(월) 10:30~18:00
○ 장 소 : 성균관대학교 600주년 기념관 조병두 국제홀(서울)
경기문화재단실학박물관(관장 김시업)과 한국국학진흥원(원장 김병일) 은 공동으로 오는 6월 10일(월) 10시 30분에 서울 성균관대학교 600주년 기념관 조병두 국제홀에서 <17세기 퇴계학의 확산과 실학의 형성>이라는 주제로 공동학술대회를 개최한다.
2013년은 근기실학의 종장인 성호 이익이 서거한 지 250주년이 된다. 지난해에는 두 기관의 연구역량을 모아 ‘퇴계학과 근기실학, 그 계승과 극복의 전망’이라는 학술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퇴계의 학맥이 성호 이익을 종장(宗匠)으로 하는 근기실학에 계승되고 극복되는 관계양상을 체계적으로 규명해 본 의미있는 학술대회였다.
올해에는 그 두 번째 기획으로 지난해와는 달리, 학맥의 계선적 연관관계를 넘어서서 광범한 실제의 파악으로 새로운 계승과 전환의 논리를 찾고자 한다. 예컨대 17세기에 들면 중앙에서 영남(상주)으로 옮겨온 이옥·이만부 부자, 소론인 호남의 임영, 노론인 김창협·김창흡 그리고 조성기 등, 지역과 색론을 넘어서는 퇴계학의 확산을 볼 수 있다. 또한 영남에서는 장현광이 퇴계학을 발전적으로 계승함으로써 산림으로서의 지위를 누렸다. 이러한 17세기의 신경향 속에서 성호로 시작되는 근기실학의 형성을 살필 때 퇴계학의 실학적 전환을 새롭게 재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임형택 실학박물관 석좌교수는 기조강연에서 <17세기 퇴계학의 계승과 전환>이라는 주제로, 퇴계학이 17세기에 중앙학계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퇴계학이 어떻게 확장 계승되고 또 전환되는지를 살핀다. 임교수는, 16세기는 성리학의 시대이고 18세기는 실학의 시대라고 한다면 17세기는 한편에서는 성리학의 연장선에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새로운 실학시대가 열리는 과도적 시기라고 규정한다. 또 이 시기에 퇴계학이 중앙학계로 확장되는 과정에서 퇴계의 정신이 기호남인에게도 계승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서인쪽에서도 수용되는 경향이 나타나는데, 사단칠정론의 해석에 있어 서인계의 일부 지식인들(창계 임영, 농암 김창협)이 퇴계의 이론으로 기울어진 것을 일예로 들 수 있다.
또 황병기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은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도맥과 퇴계학 전승의 문제 고찰>이라는 주제로, 장현광(1554-1637)의 철학사상이 지닌 도맥과 퇴계학의 영향 및 그의 독자적인 사상체계를 발표한다. 장현광이 퇴계의 리발기발설(理發氣發說)을 계승하여 기본적으로 리(理)의 능동적 발현을 긍정하고, 여기에 경위설(經緯說)과 체용설(體用說)을 자신만의 독자적인 이론체계로 수립하여, 리와 기 각각에 경위와 체용이 있다는 새로운 이론을 세움으로써 퇴계학의 계승선 상에 있으면서도 한 발 나아간 독특한 이론체계를 수립한 것임을 밝혔다.
정재훈 경북대 교수는 <식산(息山) 이만부(李滿敷)의 학문과 「도동편(道東編)」>이라는 주제로, 이만부(1664-1732)의 독자적인 학문세계를 발표한다. 이만부는 남인의 산림학자로, 서울에서 생활하다가 상주로 이주한 인물이다. 그의 학문은 외가인 이수광, 처가에서 유래한 이황·유성룡의 영향 등을 받았으며, 다방면에서 깊이 있는 성과를 남겼는데 그 가운데서도 「도동편」은 명나라 때의 「성리대전」의 형식을 빌려 온전히 조선의 성리학자들의 학설로 만든 조선판 「성리대전」이다. 개인이 이루어낸 성리학 관련 저서로는 가장 방대하고도 주체적인 성격의 이 저술의 기념비적 성격에 대해 발표한다.
문석윤 경희대 교수는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의 「四端七情說」에 대하여>라는 주제로, 김창협(1651-1708)의 사단칠성설의 내용을 ‘선(善)의 실천’이라는 일반적인 유교적 이념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퇴계가 ‘두 개의 경로를 가진 두 가지 선’의 이론이라고 한다면, 율곡은 ‘하나의 경로를 가진 하나의 선’ 이론을 내 놓았다고 해석하고, 김창협은 그 두 입장을 율곡의 입장에서 종합하여 ‘하나의 경로를 가진 두 가지 선’ 이론을 제출하였음을 보이고, 그 각 이론의 의의에 대해 논하였다.
함영대 고려대 한자한문연구소 연구교수는 <조선 맹자학의 두 경로, 맹자석의(孟子釋義)와 맹자질서(孟子疾書)>라는 주제로, 퇴계 이황과 성호 이익의 맹자 해석서인 <맹자석의>와 <맹자질서>의 분석을 통해 유교경전 <맹자>를 해석하면서 근기실학이 어떻게 퇴계학을 계승하고 창신했는가를 살펴본다. 경전의 조선적 이해의 국면에서, 또 주자학을 조선에 수용하는 지성사의 측면에서 성호는 퇴계를 잘 배운 진정한 계승자라고 주장한다.
이종묵 서울대 교수는 <퇴계와 성호의 시학>이라는 주제로, 퇴계의 시와 성호의 시가 성격은 다르지만 ‘시인의 취미’로서가 아니라 ‘학문(學問)의 의사(意思)’를 중심에 둔 것임을 발표한다. 시인의 시와 학자의 시가 근본적으로 다르지는 않지만, 두 사람의 시는 학자가 학문에 뜻을 둔 의사를 비유적으로 구사한 것으로 일반적인 시적 취미로 볼 수 없는 것임을 밝혔다.
한편 토론에는 유권종 중앙대 교수, 최영성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 이천승 성균관대 교수, 김종석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원, 정우봉 고려대 교수 등 이 분야의 전문가들이 나선다.
이번 학술대회의 의의는, 퇴계학맥의 계선적 연관관계를 넘어서서 광범한 실제의 모습을 파악하여 새로운 계승과 전환의 논리를 찾는 것이다. 퇴계학과 근기실학의 직접적인 계승관계와는 좀 다르게 영남남인으로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산림으로서 지역을 지켰던 인물, 그리고 중앙에서 지방으로 내려와 퇴계학을 계승하고 변모시킨 인물 등 지역과 색론을 넘어서는 퇴계학의 확산을 통해 살펴본다. 즉, 17세기의 신경향 속에서 퇴계학의 실학적 전환을 새로운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실학파의 후손들과 영남에 거주하는 퇴계학파의 후손들이 참석하여 선현들의 학문적 교류를 재확인하고, 바람직한 현대적 계승방안에 대해서 논의한다. 실학박물관과 한국국학진흥원은 <퇴계학과 근기실학>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학술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다.


제2회(2013) 퇴계학과 근기실학 공동학술회의
17세기 퇴계학의 확산과 실학 형성
학술대회 일정
학술대회 일정에 관한 표입니다.
10:30 ~ 11:00 참가자 접수
개회식 11:00 ~ 11:20 개회사 : 엄기영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 / 김병일 한국국학진흥원장
인 사 : 김시업 실학박물관장
축 사 : 김준영 성균관대학교 총장
기조강연 11:20 ~ 12:00 주제 : 17세기 퇴계학의 계승과 전환
발표 : 임형택 (실학박물관석좌교수)
제 1 주제 12:00 ~ 12:40
주제 : 여헌 장현광의 道脈과 퇴계학 전승의 문제 고찰
발표 : 황병기(한국국학진흥원)
토론 : 유권종(중앙대학교)

12:40 ~ 13:30 점심식사
제 2 주제 13:30 ~ 14:10 주제 : 식산 이만부의 학문과 道東編
발표 : 정재훈(경북대학교)
토론 : 최영성(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제 3 주제 14:10 ~ 14:50 주제 : 농암 김창협의 <四端七情說>에 대하여
발표 : 문석윤(경희대학교)
토론 : 이천승(성균관대학교)
제 4 주제 15:00 ~ 15:40 주제 : 조선 맹자학의 두 경로, <孟子釋義>와<孟子疾書>
발표 : 함영대(고려대학교)
토론 : 김종석(한국국학진흥원)
제 5 주제 15:40 ~ 16:20 주제 : 퇴계와 성호의 詩學
발표 : 이종묵(서울대학교)
토론 : 정우봉(고려대학교)
휴식 16:20 ~ 16:30 장내정리
종합토론 16:30 ~ 18:00 좌장 : 안병걸(안동대학교)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이전 다음 미분류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