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류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화성 만년제, 조선시대 만년제 맞다
admin - 2012.08.03
조회 2176
화성 만년제, 조선시대 만년제 맞다
– 도, 발굴조사 결과 발표. 조선시대 기록과 위치·규모 일치 확인
– 만년제를 둘러싼 각종 논란 사라질 전망


경기도 지정문화재 제161호 만년제의 위치와 규모를 둘러싼 논란이 종지부를 찍게 됐다.

경기도와 화성시는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일대에 자리하고 있는 경기도 기념물 제161호 만년제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그 구조와 위치가 사료의 기록과 일치한다고 7일 밝혔다.

만년제는 조선 정조대왕이 융릉의 풍수 비보(裨補)와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축조한 유적으로서 지난 1996년 7월 경기도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그동안 일부 학자와 지역주민들이 위치와 규모가 다르다며 문화재 지정해제 신청소송을 제기하는 등 논란이 있어 왔다.

경기도는 2007년 경기문화재단의 만년제 관련 시굴조사를 통해 현재의 위치임을 학술적으로 확인한 이후, 화성시와 함께 250억 원의 예산을 투입, 문화재구역에 대한 토지보상을 완료했으며 지난해 11월 만년제에 대한 발굴조사를 포함한 복원정비 계획을 경기문화재단(대표:엄기영)에 의뢰했다.

경기도와 화성시, 그리고 경기문화재단 관계자는 “문화재지리정보 시스템을 통한 분석 및 일성록(日省錄) 등 사료의 기록과 대조한 결과 괴성(塊星)과 동ㆍ서ㆍ남ㆍ북의 제방 규모, 하수문지 등의 구조와 위치가 일치한다.”라며 특히 “기록에 나와 있는 괴성이 아직도 만년제 한 가운데 남아있어 더 이상의 논란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성록(日省錄)은 정조께서 세손시절부터 기록하기 시작하였는데, 임금의 일기 형식을 갖지만 정부의 공식기록이다. 여기서 괴성을 만년제의 가운데에 위치한 동그란 모양의 인공섬으로서, 용이 엎드린 모양을 한 융릉의 여의주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밖에도 서쪽제방은 길이 181m, 폭 37m 규모의 넓은 광장형태인 점, 물이 빠져나가던 하수문지의 위치 등이 기록과 정확히 일치함을 확인했다.

경기도와 화성시는 이번 발굴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복원ㆍ정비계획과 기본설계를 포함하는 활용 계획을 마련, 융 · 건릉의 한 부분을 차지했던 만년제의 역사성을 회복할 수 있는 복원작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 관련 사진자료
융건릉 능원침내 금양도(1821년)
융건릉 능원침내 금양도(1821년)


발굴조사 항공사진
발굴조사 항공사진


만년제 내부에 위치하는 괴성(塊星) 전경
만년제 내부에 위치하는 괴성(塊星) 전경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이전 다음 미분류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